본문 바로가기

UIUX Design

(40)
10주차 학습일지 [포트폴리오 과제03] Problem Definition : 문제의 정의 문제는 단순히 뭔가를 해결해야하고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면서 그 문제를 정확이 알고 이해하는 것이 프로덕트에 얼만큼 중요한 단계인지 배웠다. 한 여성이 머리가 너무 아파서 병원에 찾아가 의사에게 머리가 너무 아프다, 라고 한 마디로 자기의 증상을 설명했지만 의사는 머리가 깨질듯한 두통인건지, 천장이 빙빙도는 어지러움인지 또 두통과 함께 구토가 일어나는지 다양한 증상과 증상의 차이점들을 환자에게 설명하면서 다시 한번 물었다. 머리가 어떻게 아픈지. 통증과 고통의 수치도 1-10까지 고르게 했다. 의사가 단순히 환자에 말만 듣고 "두통" 이라고 처방한다면 그 환자는 아마 다시 병원 찾게 될것이고 또 그 질병이 오..
9주차 학습일지 [ 🎉 포트폴리오_02 🎉 ] 3가지 주제선정 중 한가지를 선정하고 한참 과제에 영혼을 불태우고 있을 때즈음.....메세지 알람 하나가 띵~ 하고 울렸다. 수강생 중 누가 슬렉에 학습 질문했나? 라고 생각하고 넘기려다 혹시 중요한 내용일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어서 메세지를 확인하고 그 자리에서 얼어버렸다.(엘사왔다갔늬? hoxy?) 화장실에 있던 엄마가 내 비명소리에 무슨일 있는 줄 알고 놀래서 달려왔다. "왜그래 무슨일이야?" 라고 묻는 엄마에게 엄마 나 됐대....라이브 피드백 반에 들어갔어! 라고 말하며 너무 기쁜 나머지 침대로 뛰어 이불 속으로 얼굴을 파묻고 한참을 누워있었다. sah shil~ 놀램을 핑계 삼아 잠깐 누워봤다 헤헷. 이번 주 과제하는 동안 컨디션도 별로고 두통이 심해서 기분 별로였는데 이렇게 서프라이즈를..
9주차 학습일지 [포트폴리오 주제선정] 대망의 포트폴리오가 시작되었다 두둥...! 이것만 보고 지금까지 달려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지만 또 2달이라는 시간동안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한 것이 그저 놀랍기만하다 ㅎㅎ 사실 최선을 다해서 해야하는 것은 학생의 자세의 기본중에 기본이지만 지금까지 제출한 과제 파일들이 하나씩 쌓일 때마다 너무 뿌듯하고 괜히 내 자신이 자랑스럽닿ㅎㅎㅎ. 하지만 아직도 (뽀시래기라는게 함정) 응애다 응애 👶🏻 주제 선정하기까지 많은 고민이 있었지만 그래도 평소 내가 사용자였을 때를 떠올리며 ㅋㅋㅋ 일상생활 중 뭐가 불편했고 또 어떤 앱 서비스들이 출시되면 좋을지 생각했다. 평소 많이 경험하고 불편하다고 느꼈던 경험들이 오히려 신기하게도 나를 도왔다 ㅎㅎㅎ 그리고 이번 포트폴리오가 아니였으면 떠올리지 못할 스토리도 덕분..
9주차 [ UIUX Role in Agency, in house, and start up ] 저번주 학습일지를 통해 UIUX 디자이너의 업무와 업무 환경에 대해서 배웠다. 실제로 현재 현장에서 일하고 강사분들의 생생한 팁들과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평소에 아리쏭했던 것들과 궁금했던 점들이 속 시원하게 해소되었다! 제로베이스 온라인 스쿨 공부시작할 땐 대기업 취뽀를 목표로 UIUX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자 했다. 하지만 강의를 통해 다른 회사의 업무와 직무를 듣고 난 뒤 나의 UIUX 디자인의 시야가 넓혀졌다. 프로젝트를 어떻게 준비하고 진행되는지의 그 모든 과정들을 디테일하게 듣고 배울 수 있어서 너무 귀중한 시간이었다. 또 강의를 통해 만약 내가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맡게 된다면 어떤식으로 팀을 이끌고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하는지 그림도 그려보았다ㅎㅎㅎ (설렘 그 잡체♥︎). 실질..
8주차 학습일지 [ Simple is the Best 🏅 ] 어느 덧 한달이 지나고 벌써 8주차가 되었다. 시간이 참 빠르다. 뭘 한게 있다고 벌써 2월도 끝나가는지 어이가 없다. 포트폴리오 준비가 한창이다. 아직도 모르는것 투성이고 나보다 잘하는 사람들은 세상에 천지인데 그런 사람들 사이에 나는 계속 조급해진다. 오히려 처음엔 아는게 없으니 두려움도 없었다. 그런데 강의를 듣고 포트폴리오를 알아가면 알아 갈수록 만만치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 디자인 툴도 지금보다 더 자유자재로 막힘없이 슥삭슥삭 하고싶고 포트폴리오도 금손처럼 척척 해내고 싶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아 답답한 마음에 학습일지에 괜히 끄적여본다.... 욕심히 너무 과한걸까........? 🥲 ▶ 복잡할수록 심플하게! 이런저런 걱정들로 가득찬 머리를 일단 잠시 외면하고 과제를 시작했다..
8주차 레퍼런스 [ 인스타그램 사용 개선점 🗑️ ] ▶ Instagram 게시물 올린 후 수정하기 및 사진 추가하기 기능: 사진찍기 좋아하고 공유하기를 좋아하는 사용자 또는 인스타그램을 사용해본 사용자들이라면 한 번쯤 경험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게시물 올린 후 수정하기 기능이다. 인스타그램 초반에는 올려야 할 사진을 잊어버려서 그 사진만 하나 따로 올리기가 뭐해 게시물을 다 삭제하고 다시 추가해 올린 경험이있다. 엄청 불편했다. 요즘은 그래도 개선이 되어 게시물 수정하기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수정하기 기능도 제한적이다. 그 이유는 바로 게시물로 올린 사진 중 마음에 들지 않는 사진은 삭제가 가능하지만 여전히 추가하기는 불가능이다. 아래 영상과 사진은 지금 현 인스타그램 게시물 수정하기 과정을 녹화본과 캡쳐본이다. 왼쪽 사진을 보면 상단에 휴지통 모양 아..
8주차 학습일지 [What's in your Portfolio? 🗒️ ] 포트폴리오를 얼마나 멋지고 화려하게 만드는 것 보다 그 안에 무엇을 담을 것인지가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 내용이 결국 나라는 사람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 O R T F O L I O Contents l Container ⓟroblem solving skill: - 문제해결 능력은 UIUX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하다. 프로젝트나 작업을 진행하면서 문제는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다. 이럴 때 UX 디자이너로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상황을 대쳐하는지의 경험과 과정이 포트폴리오에 담겨야 한다. ⓡesearching skill: - 조사와 연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가지고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할 줄 알아야한다. 그래서 문제해결 능력과 잘 짜여진 구성요소를 하나의 스토리로 녹여내는 능력..
7주차 학습일지 [협업에서 UX 디자인이란?] ▶ 회사에서 UX가 하는 일 1. service Dev. process - 회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UXUI 디자인 팀과 협업팀이 함께 의견을 논의하고 서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혀간다. 1) service prototyping: - UX팀이 주도적으로 제안할 만한 시스템을 선택하며 해당 부서에 구현 및 제안을 하며 전체적인 서비스의 새로운 UX의 적용과 UX 부서의 역량을 확인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research + UX Concept + UI Structure 이다. 2) feature prototyping: - 실무에 빠르게 도움이 되는 프로토타이핑을 진행하며 내무 프로젝트 중 빠른 설득과 이해를 돕기위한 프로토타이핑 작업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능위주 프로토타이핑 작업과 연구와 협업팀과 공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