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에서 UX가 하는 일
1. service Dev. process
- 회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UXUI 디자인 팀과 협업팀이 함께 의견을 논의하고 서로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혀간다.
1) service prototyping:
- UX팀이 주도적으로 제안할 만한 시스템을 선택하며 해당 부서에 구현 및 제안을 하며 전체적인 서비스의 새로운 UX의 적용과 UX 부서의 역량을 확인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research + UX Concept + UI Structure 이다.
2) feature prototyping:
- 실무에 빠르게 도움이 되는 프로토타이핑을 진행하며 내무 프로젝트 중 빠른 설득과 이해를 돕기위한 프로토타이핑 작업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능위주 프로토타이핑 작업과 연구와 협업팀과 공유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 micro interaction:
- 인터렉션 디자인의 라이브러리화 회사 내부와 외부 전파에 주력.
이 단계에서는 스크롤, 애니매니매이션 즉 비쥬얼 (시각)에 집중하게 된다.
▶ UX 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의 변화
1. UX Researcher의 역할:
- 정량과 정성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한다
2. Interaction & Product Designer:
- 발굴된 데이터와 정보를 실제로 어떻게 접목시킬지 고민한다.
3. Visual Designer:
1) prototyper or front end developer:
- 서비스의 구조와 UI를 이해하고 그것을 실제로 앱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만들어서 자기의 역할을 전달한다. 그래서 디자인툴의 사용능력이 앞으로 더 중요해진다.
이번 주도 이렇게 끝이 났다. 아직도 머릿속이 배울 것으로 산더미지만 하나씩 헤쳐나가면서 한 주 한 주 끝낼 때마다 성취감이 좋다.
때론 게을러지기도 하며 쳐지는 날도 있지만 4개월 후 나의 모습을 상상하며 또 힘을 내본다! 7주차도 화이팅했고 잘 버텼다........⭐️
'UIUX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주차 레퍼런스 [ 인스타그램 사용 개선점 🗑️ ] (0) | 2023.02.22 |
---|---|
8주차 학습일지 [What's in your Portfolio? 🗒️ ] (0) | 2023.02.21 |
7주차 학습일지 [대기업 실무 강의] (0) | 2023.02.18 |
7주차 학습일지 [UX 디자이너의 주요스킬] (0) | 2023.02.17 |
7주차 레퍼런스 카카오 택시 (Kakao T) (0) | 2023.02.15 |